System.out.println("Hello, World");

1. Tomcat을 다운 받기 위해 http://www.apache.org에 접속한다.



2. apache 사이트에서 밑으로 내려가면 Tomcat항목으로 들어간다.

3. 왼쪽 프레임에서 Tomcat 6.0이라고 써있는 항목으로 들어간다.


4. zip 파일을 선택하면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설정 수정 전>


<설정 수정 후>


5.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면 파일 압축을 풀고 적절한 곳에다가 위치 시킨다. 

apache-tomcat-6.0.35\conf\server.xml을 에디트 플러스나 메모장으로 열어서 위와 같이 설정을 수정한다.



6. 내 컴퓨터 -> 환경변수 항목으로 들어가 위와 같이 tomcat파일 경로를 적절하게 넣어준다. 



7. cmd창을 열어서 startup 명령어를 실행 시킨다. 

위 그림과 같이 실행된다면 환경변수 설정은 완료된것이다.

이제 이클립스에서 tomcat을 실행시킬수 있는 설정을 한다.



8. 적절하게 Workspace도 새로 만들어준다.



9. Window -> Preference에서 encod로 검색하여 위 그림과 같이 UTF-8로 수정한다.



10. CSS, HTML. JSP도 UTF-8로 수정한다.



11. Server탭에서 New Server Wizard를 실행하여 Tomcat 6,0을 지정하고 서버 호스트네임을 127.0.0.1로 수정한다.



12. Tomcat이 설치된 위치를 지정해준다.




13. Server탭에서 Tomcat v6.0을 더블 클릭해서 위와 같은 윈도우를 출력시킨 다음에 'Server Location'에서 2번쨰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고 

Deploy path에서 wtpwebapps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webapps로 바꾸어준다.



14. 그리고 서버를 가동시키고 http://127.0.0.1:8088을 실행시키도록 한다.



15.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면 이클립스와 톰캣 연동 성공한 것이다.


Posted by 김마농

여기서 고객이라는 이름을 가진 테이블을 작성한다.
고객의 속성은 대략 ID, 혈액형, 성별, 나이, 전화번호 정도가 있어서 바로 테이블 작성이 가능하지만 
테이블의 구조를 참고하여 설계한후 작성한다.

테이블의 구조는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기본 설계를 한다.

테이블명 : Customer
이름 : 이름에 한글이 들어가기 때문에 varchar2로 정하고 한글로 기본 이름은 4자까지 있고, 한글은 3바이트를 차지하기 때문에 넉넉하게 20바이트를 준다.
나이 :  나이는 숫자이기 때문에 number로 주고 100살까지 고려하여 3자리를 한다.
전화번호 :  전화번호는 number로 주면 절대로 안된다. 010이나 032같은 핸드폰 번호와 지역번호를 입력할 경우 01과 32로 인식하기 때문에 varchar2로 선언해야 한다.
                 또한 010-123-4567이나 031-232-1231와 같이 "-"도 주어야 할 수 있으니 전부 더하여 13바이트를 준다.
혈액형 : 혈액형은 AB때문에 2바이트를 준다. 왜 char을 안쓰는 이유는 char로 주어줄 경우 일단 AB때문에 2바이트를 줘야 하고 A만 넣었을 경우 char은 고정 길이 문자                                     이기 때문에 빈 공백이 저장된다. 만약 A를 검색했을때 공백까지 포함해서 검색해야 하니 가변 길이를 쓰는 varchar2를 이용한다.
성별 : 성별은 남과 여 밖에 없기 때문에 M과 F로 표현하기로 하고 1바이트를 준다.

이제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한다.


테이블 생성하기

1. 우선 오라클 메인페이지에서 SQL을 선택한다.

2. 그후 SQL 명령을 선택한다.

3. SQL 명령을 선택하면 밑과 같이 명령어를 칠수 있는 페이지가 출력된다. 
이제 여기서 모든 작업을 하는 것이다.

4. 이제 테이블을 작성한다. 테이블을 작성한후 실행을 선택한다.

테이블에서 컬럼을 작성할때는 [columm명 datatype명] [제약조건] 이렇게 해야 한다.
제약조건을 작성할때 Columm과 같이 쓸수 있지만 밑에 따로 작성할 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이 작성 할 수 있다.


제약조건을 걸 경우 위와 같이 작성을 하는데 

constraint [식별자] [제약조건] (columm명)이런 식으로 한다.

create table customer(
id varchar2(10),-- primary key 이렇게 바로 줄수 있다.
name varchar2(20) NOT NULL,
age number(3) NOT NULL,
tel varchar2(13) NOT NULL,
bloodtype varchar2(2),
gender char(1),
constraint customer_pk primary key(id), --customer_pk는 식별자
constraint customer_gender_ck CHECK(gender IN ('M','F')) --gender라는 값은 M과 F 두개의 값을 갖는다.
)

5. 실행을 선택하면 테이블이 생성되었다고 뜬다.

 


6. 테이블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할려면 SELECT * FROM tab을 입력하여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7. 테이블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DESC 테이블명을 입력하면 된다.

8. 테이블 저장은 오른쪽 위에 있는 저장버튼을 선택하면 팝업창이 출력된다. 
팝업창에 이름을 적고, 그 테이블을 설명하는 글을 적어주면 된다.

9. 저장된지 확인할려면 밑쪽에 있는 메뉴바에서 [저장된 SQL]을 선택하여 확인하면 된다.

Posted by 김마농

테이블의 형태

- 테이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테이더 저장 단위

- 테이블은 시스템내에서 독립적으로 사용되길 원하는 엔티티를 표현한다.

- 컬럼(속성)과 로우(튜플, 레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로우(튜플) : 표현하고자 하는 값
  컬럼 : 여러 레코드중 하나의 속성값

- Domain : System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Data

 -테이블은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외래키 사용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 Domain을 다른 Domain들과 관계를 맺어(참조) Data표현을 확장한다.

- 데이터베이스 :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되어야 하는 데이터들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 Database Management System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ex) 오라클 DBMS, MS-SQL, DB2 ㄷ으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들을 여러항목(컬럼)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


테이블 생성
- 대소문자를 안가리기 때문에 섞어서 쓸수 있다.

Table은 컬럼으로 이루어져 있다.

CREATE TABLE table_name)
( columm명 datatype [제약조건]
  [, columm datatype . . .]
  [,제약조건]
)

ex)
CREATE TABLE customer
( id varchar2(10),
  name varchar2(50),
  age number(3),
)
---> customer라는 테이블을 생선한다.
        id는 varchar2 데이터타입이고 10바이트를 이용한다.
        name은 varchar2 데이터타입이고 50바이트를 이용한다.
        age는 number 데이터타입이고 3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VARCHAR2(n)
-가변 길이랑 VARCHAR2(5)라 설정하고 "abc"값을 넣었다고 가정하면

이렇게 데이터가 삽입되고 뒤에 2자리가 남게 된다. 이때 뒤에 있는 빈 공백을 사용하지 않으니

잘라버려서 3자리로 만든다.

CHAR(n)
- char(5)로 설정하고 "abc"를 넣을때에는

위 그림과 같이 abc가 각각의 자리에 위치하고 남는 빈자리는 공백으로 채워주어서 무조건 5글자를 유지한다.

 NUMBER(p,s)
  - number  : 정수(무한대)
  - number(n) : 정수 (n자리수)
     ex)number(5) -> 00000 ~ 99999까지 표현한다.
  - number(p,s) : 실수(총단위 p, 소숫점 이하 S)
     ex)number(5,2) -> 000.00 ~ 999.99까지 표현한다.


Posted by 김마농

1. 오라클을 관리하기 위해 Database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에 들어가면 Database 홈페이지로 이동하기가 있으니 그것을 선택하면 된다.

2. 오라클 메인화면

3. 로그인 ID : system이며, 암호는 설치할때 지정해둔 비밀번호다.

4. System메인 화면
- 사용자 생성을 하기 위해 관리로 들어간다.

5. 그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 들어간다.

6. HR이라는 사용자 계정이 있는게 보일것이다. HR 계정을 선택한다.

7. HR계정이 잠겨있기 때문에 계정상태를 잠금해제됨으로 바꿔준후 사용자 변경을 선택한다.

8. 잠금해제 했으면 위와 같이 HR계정에 자물쇠가 사라진다. 사용자 계정 추가는 오른쪽 위에 있는 생성버튼을 선택한다.

9. 사용자 이름과 암호는 오라클 관리자 마음대로 정할수 있다. 여기서 나는 ID는 scott, 비밀번호는 tiger로 주었다.
그리고 롤은 DBA를 주었고, 시스템 권한 직접 부여에서 모두 선택을 하여 주었다.

10. 위와 같이 SCOTT 계정이 생성된걸 확인 할 수 있다.

11. 이제 scott으로 접속하면 된다.


Posted by 김마농

1. http://www.oracle.com에 들어간다.


2. Downloads 메뉴탭에서 Database 11g Release2 Express Edition을 클릭한다.

3. 이전 버전인 10g를 다운받기 위해 밑에 있는 링크를 클릭한다.

4. 윈도우버전에서 하기 때문에 리눅스 버전 말고 윈도우 버전을 클릭한다.

5. 그다음 밑에 있는 박스로 표시되어 있는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Universal)을 다운로드한다. 

Universal 버전은 한글, 일본어, 중국어 등 여러가지 언어를 입력할 수 있으니 Universal버전은 필수다.

6. 다운로드받은 클라이언트를 실행한다.

7. 다음을 선택한다.

8. 설치를 할려면 동의를 하고, 안할려면 동의안하면 된다.

9. 기본주소로 설치한다. 다른곳에 설치하고 싶으면 다른폴더를 지정해서 하면 된다.

10. 데이터베이스 암호를 지정하면된다. 만약 암호를 까먹게 되면 오라클을 다시 삭제하고 설치해야 하는 불상사가 일어날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자신이 쓰는 비밀번호를 쓰는게 현명하다.

11. 설치를 선택한다.

12. 마지막 설치단계

설치가 완료됬으면 기본홈페이지가 실행된다.

Posted by 김마농

Thread를 extends하는 예제

예제

ThreadTest1

public class ThreadTes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1to30Thread pt1 = new Print1to30Thread();
		pt1.start();
		PrintAtoZThread pt2 = new PrintAtoZThread();
		pt2.start();
		PrintAtoZLowThread pt3 = new PrintAtoZLowThread();
		pt3.start();
		//동시에 같이 일을 하게 되어서 랜덤으로 스레드가 실행된다.		
	}
}

PrintAtoZThread
//A에서 Z까지 출력하는 Thread
public class PrintAtoZThread extends Thread{
	public void run(){
		//Thread의 실행 코드가 들어온다.
		for(int i = 65; i<91; i++)
		{
			System.out.print((char)i);
		}
		System.out.println();
	}
}
PrintAtoZLowThread
public class PrintAtoZLowThread extends Thread{
	public void run(){
		for(int i=97; i<97+26; i++){
			System.out.print((char)i);
		}
		System.out.println();
	}
}
Print1to30Thread
public class Print1to30Thread extends Thread{
	public void run(){
		for(int i=0; i<31; i++){
			System.out.print(i);
		}System.out.println();
	}
}

<결과>


결과는 위와 같이 랜덤으로 출력된다. 그 이유는 메소드처럼 순서대로 실행되는게 아니라 Thread는 동시에 실행되므로 결과값들이 위와 같이 상이하게 나오게 된다.


-Runnable에서 Running으로 변화시켜주는건 프로그래머는 모르고 JVM이 처리한다.

-다른일을 처리하다가 다른쪽에서 Running상태가 되고 자신의 상태가 Runnable상태가 된후 다시 Running으로 되돌아간다면 아까 멈췄던 곳에서 다시 시작한다.


Thread.Sleep(int 밀리초)

특정 Thread가 Dead(완료)될때까지 실행중인 thread를 멈춘다.(실행중인 Thread를 밀리초동안 멈춘다.)

멈춘후 해당 Thread는 Blocked상태가 된다.


Thread객체.join()

특정 Thread가 Dead(완료)될때가지 실행중인 Thread를 멈춘다.(메소드 오버로딩 되있음)

Thread가 멈춰서 Blocked상태가 된다.


Thread를 implements하는 예제

ThreadTest
public class Thread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1to99Thread pt1  = new Print1to99Thread();
		Print100to900Thread pt2 = new Print100to900Thread();
		Thread t1 = new Thread(pt1);//Thread 객체를 생성해서 담아줘야 한다.
		Thread t2 = new Thread(pt2);//Thread 객체를 생성해서 담아줘야 한다.
		t1.start();		
		t2.start();
		System.out.println("메인종료");
		//모든 스레드가 Dead하면 끝난다.		
	}
}

Print100to900Thread
public class Print100to900Thread implements Runnable{
	public void run() {
		for(int i=100; i<=900; i=i+100){
			System.out.println(i);
		}	
		//메소드 수행이 끝나면 Dead한다.
	}
}
Print1to99Thread
public class Print1to99Thread implements Runnable{
	public void run() {
		for(int i=0; i<99; i=i+5){
			System.out.println(i);
		}		
		//메소드 수행이 끝나면 Dead한다.
	}
}

<결과>


Thread Sleep 예제 
ThreadSleepTest

public class GoThread extends Thread{
	public void run(){
		for(int i = 0; i<10; i++){
			System.out.println("GoThread: " +i);
			try {
				Thread.sleep(1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

ComeThread
public class ComeThread extends Thread{
	public void run(){
		for(int i=0; i<10; i++){
			System.out.println("Come Thread : " + i);
			try {
				Thread.sleep(1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

<결과>

1초마다 파일을 생성하면서 20초마다 파일을 긁어오는 Thread 예제  


ThreadTest
public class Thread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keFileThread t1 = new MakeFileThread();
		MoveFileThread t2 = new MoveFileThread();
		t1.start();		
		t2.start();
	}
}

MakeFileThread
public class MakeFileThread extends Thread{
	//매 1초에 하나의 파일을 생성한다. 1분동안 - FIle명 costa.1, costa.2, costa.3
	public void run(){
		for(int i=1; i<60; i++){
			//만약 디렉토리 파일이 없다면 생성해줘야 한다.
			//File dir = new File("D:\\temp");
			//if(!dir.exits)
			//dir.mkdir(); 디렉토리가 없으면 만들어라
			File file = new File("D:\\temp\\costa."+i);
			Boolean flag;
			try {
				flag = file.createNewFile();
				//파일 생성하기
				System.out.println("파일 생성 여부 : "+i+"번째"+flag);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try {
				//1초간 멈추기
				Thread.sleep(1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

MoveFileThread
public class MoveFileThread extends Thread {
	// makeThread에서 만든 파일을 다른 경로로 이동 = 매 20초당 한번씩- 1분동안 처리한다.
	public void run() {
		for (int i = 0; i < 3; i++) {
			//for(int i=0; i<3; i++){
			//원본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 리스트 ㅂ루러오기
			//File newFilesDir = new File("D:\\temp");
			//String [] fileList = newsFilesDir.list();
			//파일 옮기기
			//for(String f : fileList){
			//if(file.isDirectory())//만약 디렉토리면 안옮기게따
			//continue;
			//File file =new File(newsWifle,f);
			//file.renameTo(new File("D:\\temp2");
			//Thread.sleep(20000); 20초동안 잔다.
			try {
				Thread.sleep(20000);//20초 쉬었다가 밑에 있는 거 실행한다.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or (int j = 0;  j<60; j++) {
				//원본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내의 파일 리스트 불러오기
				File origin = new File("D:\\temp\\costa." + j);
				File newfile = new File("D:\\temp2\\costa." + j);
				Boolean flag = origin.renameTo(newfile);
				System.out.println("파일 옮겨졌을까 : " + flag);
			}				
		}
	}
}




Thread를 join을 이용하는 예제 

SumThread

public class SumThread extends Thread{
	private int first;
	private int last;
	private int sum;
	public SumThread(int first, int last){
		this.first = first;
		this.last = last;		
	}
	public int getSum(){
		return sum;
	}	
	public void run(){
		//first에서 last까지 1씩 더하기
		//1+2+3+4+5+6+7+8+9+10
		for(int i = first; i<=last; i++){
			sum = sum+i;
		}
	}
}
ThreadTest
public class Thread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umThread t1 = new SumThread(1, 10);		
		t1.start();		
		try {
			t1.join();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t1이 끝날때까지 블럭하겠다.
		int sum = t1.getSum();
		System.out.println("1부터 10까지의 총합 : " +sum);
		}
}

만약 ThreadTest에서 t1.join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t.start()가 SumThread의 getSum()보다 빨리 실행된다. 빨리 실행되는 이유는 main이 더 짧고 getSun()에서는 연산이 들어가있기 때문에 main이 더 빨리 실행되게 된다. 

또한 Thread.sleep()을 사용할수 있지만 멈춰있는 시간이 연산되는 시간보다 적을수 있기 때문에 join을 사용해야 한다. 

Posted by 김마농